안녕하세요 이지아밥책 보면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간단한 함수만드는 실습을 하고있습니다.
예를들어 10 / 2 = '5'(몫)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펑션모듈을 정의할때는 I_num1,2를 IMPORT파라메타에 정의하고
결과값인 E_RESULT는 EXPORT 파라메타에 정의했는데요
궁금한 것은 노란색 하이라이트 한 부분처럼
패턴을 이용해서 함수를 불러올때는 왜 EXPORTING과 IMPORTING이 바뀌는 건가요?
잘 이해가 되지않아서 질문남깁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REPORT ZR3_FUNCTION.
DATA : gv_int1 TYPE i VALUE 10,
         gv_int2 TYPE i VALUE 2,
         gv_result TYPE i.
CALL FUNCTION 'ZR3_F01'
 EXPORTING "프로그램 입장에서 얘는 리턴값?
    i_num1         = gv_int1 
    i_num2         = gv_int2
 IMPORTING "프로그램 입장에서 얘는 입력값?
   E_RESULT       = gv_result  "좌측에서 우측으로 저장?
 EXCEPTIONS
   DIV_ZERO       = 1
   OTHERS         =  2.
          .
IF sy-subrc = 1.
  WRITE : / '0으로 나눌 수 없음'.
  STOP.
ENDIF.
WRITE : / 'gv_result : ', gv_result.
 
				 
 
호출프로그램 입장에서 데이터를 '던지면' 함수에선 '받아야'겠죠. 그러니 반대라고 이해하시면 될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