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반제품 표준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격관리에서 가격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ㅠㅠ
고수님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6,040,556 가격차이가 발생 하더라고요.
그래서 보고 보고 보다보니. 아래와 같이 오더정산을 하면서 반제품제조대체 금액과 생산에 직접투입된 금액을 합산하니
위와 같이 차이가 발생하더라고요.(-6,040,556)
62005010 - 반제품제조대체
80101010 - [직접]직접노무비
80101040 - [직접]간접인건비
제가 궁금한거는
1. 생산오더에 원재료비가 포함이 안되어 있고 위와 같이 직접노무비/간접인건비만 들어오면 금액차이가 위와 같이 항상 발생하는게 맞는건지요?
2. 위의 경우가 잘못되었다면 어떻게 변경을 해야 하는게 맞을까요?
3. Actual Costing에 대해... 잘몰라서요.. 설명이 잘되어 있는 자료 있으면 부탁 드려요 ㅠㅠ
4. 그리고 자재원장실행을 하려면 반드시 3(단일/다중 레벨)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게 맞는건가요?
5. 위에 가격(114,672)가 다음달 기초재고로 해서 넘어가더라고요..이게 기간별단가로 찍히는데요. moving price라고 생각을 하면 되는건가요?
너무 많은 질문을 했네요;; 고수님들 명쾌한 설명 부탁 드려요^^
댓글 4
-
어쭈
2016.01.20 03:04
-
younnjjang
2016.01.20 03:13
어쭈님. 답변 감사합니다.
또 여쭤 볼께요^^
1. 보통 원재료비도 같이 들어오는게 정상 아닌가요?;;; 저희는 나중에 들어오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금액차이가 좀 많이 나는거 같네요...
2. 보정은 몰로 해야 될까요???
5. 114,672 금액은 그럼 그냥 표준가로 보면 되는건가요??
-
스누피
2016.01.24 08:58
CKM3 는 자재가격 분석으로써 실시간으로 해당 자재의 입고 출고 기말 형태로 재고 자산의 가치를 평가해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월중에는 표준원가로 평가되어 5개 생산되었고..
결산시점에 오더정산 및 결산전기를 통해 표준원가로 평가되었던 가치가 실제원가로 평가되는것입니다.
그에 따라 가격차이가 발생한것이고요.
-
younnjjang
2016.01.25 21:18
답변 감사 드립니다.^^
1. 거의 대부분 들어온다 생각하시면 됩니다.항상이라고 해도 무관합니다.
2. 잘못되지 않았지만 차이가 좀 크니 보정은 조금 필요할듯합니다.
3. 말 그대로 실제 원가 입니다. 계회과 비교 하시면 될듯합니다.
4. 반제품이 있으시다면 단일/다중 모두 필요합니다.
5. 아닙니다. 표준원가와 이동평균가에 대해 헷갈려 하시는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