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O 주니어 컨설턴트 긴박하니 입니다.
제가 유지보수를 맡고 있는 사이트 두 곳에서 동시에 이슈가 터져 요즘 굉장히 힘드네요 ㅠㅠ
FI - CO간 매출원가가 맞지 않다고 하는데 어떻게 찾아야할지 막막하더라구요
우선 F.01과 KE30 레포트를 비교하여 보았으나 구분항목이 달라 완벽하게 비교가 되지는 않더군요
여러가지 작업을 하던 중 궁금한 사항이 많이 생겨서 고수분들께 조언을 요청합니다 ^^
1. CO-PA에 들어와있는 매출원가 DATA를 계정별로 구분할 수 있을까요?
- F.01레포트에 나오는 금액은 구성하는 계정이 모두 나와 검증이 수월하더라구요. FI 컨설턴트가 저에게 CO-PA 매출원가에 들어간 계정을 주면 비교가 쉬울것 같다고 하는데 KE24에 들어가도 cost element가 나오는 레코드는 일부뿐이구요.
KEI2에 들어가서 PA Transfer Structure를 봐도 일부계정만 엮여 있어서 전체금액에 대한 계정맵핑이 불가능하더라구요 ㅠㅠ
ke4i에서 컨디션타입별로 value field를 맵핑하는 것도 보았는데 이걸봐도 계정은 감이 안옵니다. 계정으로 CO-PA에 들어와있는 매출원가 전체금액을 맵핑하는게 가능한가요?
2. 보통 FI-CO간 금액차이가 발생하면 어떤 검증 절차를 거치게 되나요? 체크리스트 같은건 없는건가요?
- FI-CO간 금액차이가 발생하면 노가다를 하는 것 밖에 답이 없다고 하더라구요 ㅠㅠ 노가다를 한땐 하더라도 체계적으로 체크리스트를 보면서 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제가 아는게 워낙 적어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봐야할지 감이 부족해요 ㅠㅠ 이건 경험밖에 답이 없는건가요?
댓글 4
-
토마토83
2013.06.13 18:27
-
나는라이토다1
2023.11.09 20:34
2. 질문의 목적이 FI와 PA 간의 매출원가 차이라면 제생각엔 PA재평가를 통해서 넘어오는 금액은 보통 틀릴가능성이 없다고 보구요.
즉 자재가 출고되면서 발생하는 계정들인 제품(상품)매출원가 와 PA의 Cost Component 는 거의 일치할 겁니다.
(단수차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희회사에선 단수차이 조정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이 답변과 관련하여 죄송하지만 단수차이가 발생되는 예시를 간단히 하나 들어주실수 있으신가요??
-
안찬
2013.06.14 00:37
좋은 답변이네요..
저희 사이트도 단수차 발생은 프로그램으로 잡고는 있지만.. 항상 차이 발생해서.. 노가다로 잡고 있습니다만...ㅠ(느낌으로..)
-
가을이오면
2013.10.07 20:44
저도 차이가 있는데..
역시 기타매출부분의 문제인가요..
토마토님 답변 보고 공부해봐야겠어요 ㅎㅎ
회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아는 선에서 답변드립니다.
1.먼저 CO-PA에 값필드별로 구성되어있는 매출원가는 당기에 발생한 비용하고는 다르다는걸 아실겁니다.
총편균법으로 재고 계산을 한다고 하면 당월에 계산된 단가를 기준으로 매출 출고쪽이 매출원가 금액일겁니다.
이 매출원가는 PA재평가를 통해서 PA에 보내지게 되구요..
회계 계정과 PA의 값필드 매핑도 물론 가능합니다.
먼저 Cost Component 별로 계정이 어떻게 매핑되어있는지 확인하고(OKTZ)
이 Cost Component가 어떤 값필드로 매핑되어있는지 확인하면(KE4R) 결국 계정과 값필드 매핑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Cost Component가 PA로 넘어오는건 이렇게 확인하고 기타 매출원가 부분은 회계에서 PA로 직접 전기 가능한 부분도 있고
CCA에서 배부되어 넘어오는 부분도 있기때문에 PA Transfert Str 에서 나머지 값필드 부분은 매핑을 하면 전체 매출원가를 구성할 수 있을 듯 합니다.
2. 질문의 목적이 FI와 PA 간의 매출원가 차이라면 제생각엔 PA재평가를 통해서 넘어오는 금액은 보통 틀릴가능성이 없다고 보구요.
즉 자재가 출고되면서 발생하는 계정들인 제품(상품)매출원가 와 PA의 Cost Component 는 거의 일치할 겁니다.
(단수차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희회사에선 단수차이 조정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만약 차이가 발생한다면 저는 주로 기타매출원가 부분을 확인합니다.
즉 직접전기나 배부를 통해서 매출원가 값필드로 들어오는 부분에 집중한다는거죠..
소비재평가를 통해서 제조 코스트센터에 남은 금액이 PA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는지..
ML정산을 수행한 후 배부안됨으로 남게되는 금액이 PA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는지..
FI에서 직기표한 매출원가 조정금액들이 모두 PA에 반영이 되었는지 ..
위와 같은 순서로 확인하면 대부분 찾을 수 있을듯 합니다.
참고로 제가 맡고 있는 회사의 경우는 CO-PA금액이 FI와 단수차이를 제외하곤 완전 일치합니다.
아는 지식이 부족하고 댓글로 작성하다보니 정리가 부족한 점 이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