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 동안 사수님들이 던져 주시는 레포트 프로그램만 만들다가
이번에 프로젝트를 옮기면서 드디어 저도 BDC 라는 것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큰 문제가 생겼습니다.
여러 선배님들의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입고
p/o 입고
in_bound 입고
* 출고
201출고
* 이전전기
저장위치 이전전기
업체간 이전전기
이번에 입고도 하고 출고도 하고 입고 한 것을 이동 시키는 것도 해야 하는 것 같은데요.
각각 어떤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BDC 를 만드는지 모르겠습니다.
첫번째 질문은 저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T-Code 를 사용하나요?
두번째 질문은 201 출고란 무엇이고 이전전기란 무엇인가요?
세번째 질문은 입고가 두가지 인데 T-Code 가 다른가요? 아니면 다른 구분 방법이 있나요?
선배님들의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3
-
꽃미남
2008.10.31 05:16
-
mm_dsshin
2008.10.31 05:49
1. 입고 migo
출고 mb1a
저장위치 이전전기 이동유형 311 mb1b
업체가 이전전기 ? 플랜트간 이전전기가 아니나요?
플랜트간 이전전기 301 (한스탭) - 바로 이전전기 됨
303,305 (2스탭) - 303으로 실행 하면 운송중 재고로 떠 있고 305로 받아야 가용재고로 사용가능
** migo 화면에서는 어떠한 이전전기(입고,출고,이전전기)도 수행이 가능합니다. 선택값과 이동유형을 바꾸어 쓰시면 됩니다.
2. 201 출고 란? 코스트센터(비용의 최소단위)로 자재를 불출 (회사의 재고에서 없애는 작업) 하는 이동유형입니다.
이전전기 란? 물건이 들어오면 플랜트 - 저장위치 안에 있는데 이 물건을 이동하는 행위 입니다.
3. p/o 입고 : 구매오더 - 입고
인바운드 입고 : 구매오더 - 인바운드 납품 생성 - 입고
인바운드 납품문서를 사용하냐 안하느냐의 차이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만들때 bdc 보다는 bapi 사용하시는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
rain
2008.10.31 17:07
답변 감사합니다. 제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가 질문이 있어서 하나 더 올리겠습니다. 선배님들의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저도 지식이 짧아서 아는것만 몇자 적을게요
SAP 상에서 재고이동은 Movement type 별로 이동되어 지게 되어 있고요
생산종결되어 정상출고 인지 또는 Storage Location 간 이동인지 이런 타입이 다 있어요
Movement type 정리는 http://pcguy7.springnote.com/pages/1837942 클릭하시면 보실수 있고요
Storage Location 간 재고 이동은 T-code : MB1B 에서 하고요
초기재고 생성은 T-code : MB11 에서 합니다
재고 이동 History 는 T-code : MB511 에서 하고요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수고하십시요